😀 Jerry/면접 질문

[1분 면접] HTTP/1.1과 HTTP/2.0에 대해서 설명

Jerry_K 2025. 4. 3. 12:44

📌 면접 답변

 

 

HTTP/1.0 (1996)

  • 요청 하나당 새로운 연결을 만든다.
  • 요청과 응답마다 TCP 커넥션 생성으로 오버헤드 발생 
  • 매번 TCP 연결 생성 필요

 

HTTP/1.1 (1997)

https://eottabom.github.io/post/why-using-grpc/

  • Persistent Connection 지원 (지속 커넥션)
    • 연결 재사용

https://eottabom.github.io/post/why-using-grpc/

  • 파이프라이닝 지원으로 요청의 응답 지연 감소
    • 여기서 말하는 파이프라이닝은 TCP 연결에서 여러 요청을 순차적으로 보내고, 응답은 순서대로 받는 방식
    • 요청 A → B → C 인 경우, 응답 A → B → C 순서대로 처리

https://eottabom.github.io/post/why-using-grpc/

  • 저런 파이프라이닝 방식에는 항상 떠오르는 문제가 맨 앞에 끝 없이 지연되는 문제이다 ....
  • 이러한 문제를 Head-of-Line Blocking (HOL Blocking) 문제라고 한다.

 

HTTP/2 (2015)

  • HTTP/1.1은 메시지를 일반 텍스트 형식으로 전송했지만, 2.0부터는 메시지를 프레임이라는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
  • 기존 1.1 버전에 비해 파싱 및 전송 속도가 향상

https://eottabom.github.io/post/why-using-grpc/

  • 멀티플렉싱 지원 
    • 하나의 커넥션을 사용하여 요청과 응답을 병렬로 처리
    •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여러 요청을 동시에 보내도 각 요청이 독립적으로 처리
    • 때문에 HOL Blocking 문제 해결 

https://eottabom.github.io/post/why-using-grpc/

  • HPAC 헤더 압축 방식을 사용해 반복되는 헤더를 효율적으로 관리

https://eottabom.github.io/post/why-using-grpc/

  • 또한 클라이언트가 요청하지 않은 리소스도 Server가 미리 전송할 수 있어 페이지 로딩 속도를 개선한다.

 

HTTP/3 (2022~ )

  • TCP 대신 UDP 기반의 QUIC 프로토콜 사용 (더 빠른 연결 설정)
    • TLS 내장
  • TCP가 갖고 있는 원초적인 단점 보완
  • 지연 시간을 줄이고 모바일 환경에서 더 안정적

 

HTTP/1.0 같은 경우 사용하지 않고,

HTTP/1.1 같은 경우 기본값인 경우가 많고, HTTP/2.0 미지원 시 fallback으로 사용된다.

HTTP/2.0는 매우 널리 쓰이고, 대형 서비스나 최신 서버에 주로 사용된다.

HTTP/3.0은 현재 확산 중으로 모바일 최적화를 고려한 최신 서비스에 사용된다.

 


📌 내 답변

HTTP/1.0 → HTTP/1.1 HTTP/2.0 으로 진화한 것으로 알고 있다.

HTTP 버전 차이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기억이 나진 않고, 요즘에는 HTTP/2.0을 쓰는 것으로 알고 있다.

 

Self Feedback

  • HTTP 버전의 존재 정도만 알았지, 실제로 어떤 차이를 갖는지는 몰랐다.
  • 피드백 할 것도 없이, 그냥 몰랐음 ... 이제 부터 알면 된다 !!

[출처 및 참고 자료]

https://www.maeil-mail.kr/question/130

 

매일메일 - 기술 면접 질문 구독 서비스

기술 면접 질문을 매일매일 메일로 보내드릴게요!

www.maeil-mail.kr

https://eottabom.github.io/post/why-using-grpc/

 

gRPC 를 도입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(feat. HTTP 1.0 vs HTTP 1.1 vs HTTP 2.0)

🐱 Meow, meow gRPC 는 Google 이 개발한 모든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고성능 RPC 프레임워크이다. Monolithic → MSA 로 가면서, 여러개의 서비스로 분리가 되어졌는데, 그렇다보니, 하나의 응

eottabom.github.io

 

 

🌐 HTTP 3.0 소개 & 통신 기술 알아보기

HTTP / 3.0 HTTP 2.0 의 등장과 함께 기존의 프로토콜 데이터 체계를 프레임과 스트림 개념으로 재구축한 결과 기존 보다 혁신적으로 성능이 향상되게 되었다. 하지만 여전히 HTTP는 TCP 기반 위에서 동

inpa.tistory.com

위에 글을 써주신 분들의 설명이 아주 아주 기똥차다 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