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면접 답변
기존에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의 서버가 한계에 도달했을 때, 스케일 아웃 또는 스케일 업을 고려할 수 있다.
스케일 업
- 기존의 서버를 더욱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
-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서버의 성능 향상
- 하지만 무한정 업그레이드 불가능
- 사용 예시
- 단일 쓰레드 성능이 중요한 DB 서버
- 가상화 기반 인프라 (가상 서버 하나에 많은 자원 필요)
- 라이센스 기준이 "서버 수" 일 경우
- 단일 서버에서만 동작해야하는 레거시 시스템
-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
스케일 아웃
- 비슷한 사양의 장비를 추가하여 수평으로 확장
- 서버로 들어오는 많은 요청을 서버 n대로 분산시켜 성능 향상
- 그때 그대 필요한 만큼 서버 추가
- 상대적으로 스케일 업 방식보다 비용이 효율적
- 특정 서버의 장애가 발생 상황에서 스케일 업 방식보다 가용성이 높음
- 단점으로는 시스템 복잡도가 증가하고, 데이터 일관성 문제, 네트워크 병목 등이 있다.
📌 내 답변
스케일 아웃은 병렬적으로 서버의 개수를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.
하지만 스케일 업은 수직적인 느낌으로, 개수를 늘리는게 아니라 서버의 성능을 높히는 것이다.
일반적으로 스케일 아웃이 비용적, 고가용성 측면에서는 스케일 아웃이 더 선호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.
Self Feedback
-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의 장/단점도 같이 말했으면 좋을 듯
[출처 및 참고 자료]
https://www.maeil-mail.kr/question/128
매일메일 - 기술 면접 질문 구독 서비스
기술 면접 질문을 매일매일 메일로 보내드릴게요!
www.maeil-mail.kr
면접 내용 출처
'😀 Jerry > 면접 질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분 면접] 프로세스보다 스레드의 컨텍스트 스위칭이 더 빠른 이유 (2) | 2025.04.02 |
---|---|
[1분 면접] Redis가 싱글 스레드로 만들어진 이유 (0) | 2025.04.01 |
[1분 면접] 캐시 스탬피드 현상에 대하여 설명해주세요. (0) | 2025.03.26 |
[1분 면접] ACID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(0) | 2025.03.25 |
[1분 면접] REST란 무엇인가 ? (0) | 2025.03.24 |